상단영역

본문영역

현대차그룹, 연구개발본부 더 민첩하고 유연하게 '조직 개편'

현대차그룹, 연구개발본부 더 민첩하고 유연하게 '조직 개편'

  • 기자명 김기홍
  • 입력 2019.07.09 13:38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대자동차그룹의 연구개발본부가 민첩해진다. 자동차 품질과 신뢰성 향상은 물론 수익성을 높여 연구개발(R&D)에 재투자하는 선순환 구조를 확립한다는 목표다.

현대자동차그룹이 연구개발본부 조직 개편을 통해 차량 기본 골격과 콘셉트를 선행 개발하는 '제품통합개발담당'을 신설했다. 자동차에 탑재되는 주요 기술 개발을 담당하는 '시스템 부문'의 독립성과 전문성도 높였다. 제품개발을 총괄하는 '프로젝트 매니지먼트(PM) 담당' 권한을 강화해 차급·브랜드 간 제품 차별화에 주력한다.

급변하는 자동차 시장 환경에 민첩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다. 현대차는 시장에서 요구하는 자동차를 선제적으로 준비하고 차 품질과 신뢰성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동시에 수익성을 높여 연구개발(R&D)에 재투자하는 선순환 구조도 확립할 방침이다.

현대차그룹은 9일 PM·설계·전자·차량성능·파워트레인(PT) 등 5개 담당의 병렬 구조였던 연구개발본부의 조직체계를 ▲제품통합개발담당 ▲시스템부문(4개담당) ▲PM담당의 삼각형 구조로 단순화했다고 밝혔다. 차량 개발의 복잡성을 줄이고 미래 모빌리티 시장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조치다. 디자인담당과 상용담당은 연구개발본부 내 별도 조직으로 운영된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부터 이 같은 차량개발 철학을 담은 '아키텍처 기반 시스템 조직'(SBO) 체계 개편을 준비해왔다. 제품통합개발담당은 자동차 개발의 초기 단계에서 전체적인 기본 구조를 잡아주고 최종 단계에서 다시 종합적인 차량의 성능 조율을 맡는다. 제품통합개발담당은 차량아키텍처개발센터와 차량성능개발센터로 구성된다.

차량아키텍처개발센터는 차량 개발의 뼈대가 되는 아키텍처 개발 단계부터 시장 요구사항을 반영, 고객이 필요로 하는 기술이 빠르게 적용될 수 있도록 밑그림을 그리는 역할을 한다. 자동차 개발 과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선행연구 부분을 더 강화한 것이다.

또 새롭게 편성된 차량성능개발센터는 자동차 개발 최종 단계에서 소음·진동(NVH), 안전, 내구, 에어로다이내믹 등 통합적 차량 성능 개발을 지휘해 상품성을 극대화할 예정이다.

시스템 부문은 제품통합개발담당에서 마련한 자동차 개발 기본 콘셉트 안에 담기는 주요 핵심 기술개발을 담당한다. 차량 기술적 기둥이 되는 핵심 요소인 ▲섀시(현가, 조향, 제동) ▲바디(차체, 내외장) ▲전자 ▲파워트레인 총 4개 담당 체계로 구성되며 각기 독립적인 조직을 구축해 분야별 기술 전문성을 높인다. 

특히 4개 시스템 부문은 분산돼 있던 설계·해석·시험 부문을 통합한 '완성형 개발 조직'으로 각각 구성돼 부문별 독립성을 대폭 끌어올리면서 책임을 강화했다. 시스템 부문은 개발된 신기술이 다양한 차종에 빠르게 적용될 수 있도록 부품의 모듈화·표준화 기준을 정립해 구매부터 생산, 협력사까지 이어지는 협업 구조를 다져갈 예정이다. 신기술을 빠르게 적용하면서 동시에 검증된 품질로 제품 신뢰도와 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PM담당은 앞선 두 부문과 협업해 제품개발을 총괄한다. 차량의 기본 콘셉트에 개발된 기술을 차급과 브랜드별로 최적화해 상호 간섭을 막고 차별화된 제품 개발을 책임진다. PM담당 조직은 기존의 브랜드와 차급 개념이 섞인 '혼합 구조'(제네시스, EV고성능, 소형, 중대형, RV)에서 전 브랜드를 아우르는 '차급 구조' (경형, 소형, 준중형, 중형, 대형 센터)로 개편됐다. 더불어 PM 조직 내에 기존에는 분리돼 있던 '사용성 평가'기능을 배치함으로써 개발 중인 차량을 고객의 입장에서 항시 점검하고 보완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외에도 현대차그룹은 가상 공간 시뮬레이션을 강화하기 위해 제품통합개발담당 산하에 버추얼차량개발실을 신설했다.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자율주행 기술 분야 등에서 실물 제작과 주행 시험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여 개발속도를 높이고 품질 안정화에 기여하게 된다. 이와 함께 자율주행, 전동화, 인포테인먼트 분야 역시 지속적으로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해 미래 모빌리티 경쟁에 적극적으로 대응한다. 

알버트 비어만 현대차 연구개발본부 사장은 "이번 조직 구조 개편으로 자동차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와 고객 요구에 빠르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그룹은 2003년 연구개발의 통합적 역량 향상을 위해 각 지역에 분산되어 있던 현대·기아차의 연구개발 기능을 모아 통합 조직을 출범했다. 판매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던 2000년대 중반에는 글로벌 전략차종 등 다양해진 제품 라인업 개발 세분화를 위해 차종, 차급 단위의 플랫폼 기반 조직 개편을 단행한 바 있다. 2012년에는 자동차의 기본성능과 감성품질 강화를 목표로 기능 전문화 중심의 조직으로 재편하는 등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끊임없는 연구개발 조직 혁신을 추진해 왔다.  

/지피코리아 김기홍 기자 gpkorea@gpkorea.com, 사진=현대차그룹

저작권자 © 지피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