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2027년 세계 첫 완전자율주행 상용화…"2030년까지 미래차 1등 목표"

2027년 세계 첫 완전자율주행 상용화…"2030년까지 미래차 1등 목표"

  • 기자명 지피코리아
  • 입력 2019.10.22 16:31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가 전국 주요 도로에는 2024년까지 자율주행 인프라가 완비된다. 이를 기반으로 2027년에는 세계 최초로 자율주행차가 상용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를 세계 미래차 분야 1위 국가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5일 이와 같은 내용을 담은 '미래자동차 산업 발전전략'을 발표했다. 정부는 미래 자율주행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마련했다. 먼저 2024년까지 완전자율주행에 필요한 통신과 정밀지도, 교통관제, 도로 등 4대 인프라를 전국 주요 도로에 완비한다. 같은 해에는 자율주행차 제작·운행 기준, 성능체계, 보험, 사업화 지원 등 자율주행 관련 제도적 기반도 마련될 예정이다.

완성차 업계는 2021년 부분자율차(레벨3) 상용화, 2024년 완전자율차(레벨4) 출시를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이를 통해 2030년 레벨 3~4 자율차가 신차 시장의 약 50%를 차지할 것으로 관측된다.

정부도 자율주행의 3대 핵심기능인 인지, 판단, 제어기술에 전략적으로 투자해 완전자율주행 시스템 국산화에 나선다. 센서·차량용 반도체 등 부품은 대형 기술개발 지원 등을 통해 관련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다양한 미래차 서비스 개발을 위해 완성차 회사가 보유한 차량 데이터를 모든 서비스 개발 기업에 공개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동시에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도 마련한다. 이는 올해 하반기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 등을 개정해 가명 정보 활용의 법적 근거가 생길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새로운 교통수단인 '플라잉카'(flying car) 서비스 실용화를 2025년까지 추진한다. 이를 위해 전용도로와 자동경로 설정 등 교통체계 기반기술(UTM)을 2022년까지 개발하기로 했다. 고출력 모터 등 핵심기술 확보와 항공기 수준의 안전 기준 개정도 이뤄진다. 2025년 이후에는 시범운행 등 안전성 실증을 거쳐 플라잉카 여객서비스 활성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미래 교통체계와 자율주행차 연계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테스트베드로 세종과 부산에 스마트시티를 조성하기로 했다. 여기에는 자율주행 전용 순환링(4㎞)과 5세대(5G) 기반 관제체계 등을 토대로 자율주행 대중교통 서비스를 2023년 도입할 계획이다.

미래차 정책 컨트롤타워인 '미래차 전략회의'는 2024년 신설된다. 여기서 미래차 로드맵의 이행 상황을 점검하고 총괄·조정하게 된다. 차·부품·IT 등 업종 간 융합 촉진을 위한 '미래차산업 얼라이언스'는 내년 만들어진다. 또한 양대 노총과 업계 등이 참여하는 '노사정포럼'도 운영된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전략을 통해 2030년 우리나라의 안전과 환경, 기술 수준을 크게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며 "교통사망 사망자는 지금보다 74%가량 줄고 교통정체도 약 30%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정부는 2030년까지 신차 시장에서 전기·수소차 판매 비중도 33%로 늘려갈 계획이다. 현재 전기·수소차 판매 비중은 2.6%에 불과하다. 이를 위해 전기차는 고급세단과 소형 SUV, 소형트럭(5t 미만), 수소차는 SUV, 중대형 트럭(5t 이상)을 중심으로 2030년까지 모든 차종의 친환경차 라인업을 확충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 지피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