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인 가구 늘어도 중대형 아파트 인기...희소성과 수요가치에 청약 경쟁률 고공행진
공급 줄고 수요는 확대…전국 분양시장서 중대형 평형 청약 흥행 이어져
1·2인 가구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아파트 시장에서는 전용 85㎡ 초과의 중대형 평형에 대한 수요가 뚜렷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최근 1년간(10월 말 기준) 전국 아파트 평균 가격 상승률은 5.50%였으나, 전용 85㎡ 초과 중대형은 6.52%로 가장 높았다. 반면, 전용 60㎡ 이하 소형은 4.44%, 60~85㎡ 중소형은 5.29%에 그쳤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흐름을 ‘똘똘한 한 채’ 선호와 함께 주거공간이 업무·여가 기능을 겸하는 공간으로 바뀌고 있다는 점에서 비롯된 현상으로 분석했다. 여기에 중대형 아파트 공급이 줄어들며 희소가치가 높아진 점도 한몫하고 있다는 평가다.
실제로 2021년부터 올해 11월까지 전국 아파트 공급물량 132만여 가구 중 전용 85㎡ 초과는 9.4%인 12만 5,000여 가구에 불과했다. 일반분양 기준으로도 지난해 2만 6,090가구였던 중대형 물량은 올해 1만 8,511가구로 약 29% 줄었다.
이 같은 희소성과 수요 집중 현상은 청약시장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난다. 지난 5월 분양한 ‘동탄포레파크자연앤푸르지오’ 전용 97㎡A는 69.0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단지 최고 경쟁률을 나타냈고, 3월 천안에서 분양한 ‘e편한세상 성성호수공원’ 전용 105㎡는 61.26대 1을 기록하며 완판됐다.
한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가구 수는 줄어들고 있지만 소득 수준과 라이프스타일 다양화로 중대형 아파트에 대한 수요층은 오히려 확대되는 추세”라며 “공급이 제한된 상황에서 중대형의 희소성과 프리미엄 가치가 더욱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분양시장에서는 중대형 평형을 포함한 신규 단지들이 잇따라 공급에 나서고 있다.
DL이앤씨는 이달 충남 내포신도시에서 ‘e편한세상 내포 에듀플라츠’를 분양할 예정으로, 총 727가구 중 전용 119㎡ 중대형 물량이 122가구로 구성됐다. 수원 당수공공주택지구에서는 HL디앤아이한라가 ‘서수원 에피트 센트럴마크’를, 김포 북변2구역에서는 대원이 복층형 펜트하우스로 구성된 ‘칸타빌 디 에디션’을 각각 공급한다.
이 외에도 GS건설은 12월 용인 풍덕천동 일원에서 ‘수지자이 에디시온’(최대 152㎡), 창원특례시에서는 ‘창원자이 더 스카이’(전용 106㎡ 포함)를 분양할 계획이다.
/지피코리아 박한용 기자 qkrgks77@gpkorea.com, 사진=DL이앤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