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편집 : 2025-11-26 12:06 (수)

본문영역

벤츠 회장, AI·배터리·전장 협력 위해 방한…한국 기업과 미래차 동맹 확대

벤츠 회장, AI·배터리·전장 협력 위해 방한…한국 기업과 미래차 동맹 확대

  • 기자명 김기홍
  • 입력 2025.11.14 10:15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왼쪽부터) 메르세데스-벤츠 R&D 코리아 컬삿 카르탈 센터장, 메르세데스-벤츠 이다 볼프 기업본부 총괄,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 마티아스 바이틀 대표이사, 메르세데스-벤츠 그룹 AG 올라 칼레니우스 CEO, LG전자 조주완 CEO, LG디스플레이 정철동 CEO, LG에너지솔루션 김동명 CEO, LG이노텍 문혁수 CEO이 서울 여의도 LG 트윈타워에서 만나 미래 모빌리티 분야 협력 강화를 논의했다.
(왼쪽부터) 메르세데스-벤츠 R&D 코리아 컬삿 카르탈 센터장, 메르세데스-벤츠 이다 볼프 기업본부 총괄,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 마티아스 바이틀 대표이사, 메르세데스-벤츠 그룹 AG 올라 칼레니우스 CEO, LG전자 조주완 CEO, LG디스플레이 정철동 CEO, LG에너지솔루션 김동명 CEO, LG이노텍 문혁수 CEO이 서울 여의도 LG 트윈타워에서 만나 미래 모빌리티 분야 협력 강화를 논의했다.

메르세데스-벤츠가 한국을 미래차 전략의 핵심 파트너로 삼기 위한 전방위 협력 확대에 나섰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성장 둔화와 기술 패러다임 변화 속에서 한국 기업들과의 인공지능(AI) 기반 차량 기술, 차세대 배터리, 전장부품 등 핵심 분야 동맹을 통해 미래차 경쟁력을 공고히 하겠다는 의지가 분명히 드러났다.

올라 칼레니우스 메르세데스-벤츠그룹 회장은 지난 13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LG그룹 계열사 최고경영자(CEO) 등 국내 양대 그룹의 수장들과 만나 미래 모빌리티 전환에 맞춘 협업 전략을 논의했다. 

이번 회동에서는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SDV)으로의 기술 전환,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의 디지털화, 전기차용 배터리 공급망 강화 등 구체적 아젠다가 다뤄졌다. 양측은 전기·전자·소프트웨어 기반의 모빌리티 기술이 급변하는 시점에서 한국의 전장·AI·배터리 역량이 벤츠의 차세대 전략과 직접 연결된다는 데 의견을 같이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선 칼레니우스 회장은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조주완 LG전자 CEO, 정철동 LG디스플레이 CEO,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CEO, 문혁수 LG이노텍 CEO 등 LG그룹 전장·배터리 계열사 최고경영진과 50여분간 회동했다. 벤츠와 LG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배터리 등에서 이미 장기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이날 회동에서는 AI 기반 차량 기술과 차세대 전장 패키지 등 협력 범위 확대가 논의됐다.

칼레니우스 회장은 "LG는 광범위하면서도 깊은 기술 역량을 갖춘 거의 유일한 기업"이라며 "벤츠가 새로운 시도를 할 때 자연스럽게 찾는 파트너"라고 말했다. LG전자는 인캐빈 센싱 등 AI 기반 모빌리티 솔루션을 강화하고 있고, LG에너지솔루션은 벤츠와 약 15조원 규모로 추정되는 차세대 원통형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조주완 CEO는 "SDV가 AI 중심 자동차로 전환하는 흐름 속에서 다양한 협력 기회를 논의했다"며 "시장 안정화 이후에는 새로운 사업 기회가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LG와의 회동을 마친 칼레니우스 회장은 저녁에는 한남동 승지원에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만찬을 가졌다. 이 자리는 최주선 삼성SDI 사장, 크리스티안 소보트카 하만 CEO 등이 동석한 가운데 배터리·전장·디스플레이 등 삼성 전장 벨트 전반에 걸친 미래 협력 방안을 다각도로 논의한 자리였다. 

벤츠와 삼성은 차량용 OLED 디스플레이, 후석 태블릿 등에서 이미 협력해왔으며, 이번 회동은 자율주행·AI 기반 인포테인먼트·차세대 배터리 등 미래 영역으로의 확장을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삼성SDI와의 배터리 협력 확대가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칼레니우스 회장은 "우리는 다양한 배터리 공급자들과 균형 있는 포트폴리오를 원한다"며 "기술 경쟁력이 있다면 누구든 벤츠와 협력할 기회가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SDI는 각형·46파이 원통형·전고체 등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어, 벤츠의 전기차 라인업 확대에 맞춘 전략적 파트너로 부상하고 있다.

하만과의 공조도 강화될 전망이다. 하만은 벤츠 EQS에 적용된 MBUX 디지털 콕핏 시스템을 공급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으며, AI 기반 사용자 경험, 자율주행 센서 융합 등에서 협력 범위가 넓어질 가능성이 크다. 삼성디스플레이·삼성전기 등 계열사의 전장 역량 역시 벤츠의 고급 전기차 전략과 접점을 형성하고 있다.

칼레니우스 회장은 승지원 만찬 뒤 "삼성과의 지속적인 협력은 개인 모빌리티의 미래를 함께 만들어가겠다는 공동의 헌신을 보여준다"며 "세계에서 가장 선망받는 자동차를 만들기 위해 강력한 파트너십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피코리아 김기홍 기자 gpkorea@gpkorea.com, 사진=벤츠코리아, LG전자

저작권자 © 지피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